|
중고등 학교시절 교과서에도 많이 나왔던걸로 기억하는데? 그때는 왜그렇게 책읽는게 싫었는지....
기억에 많이 남는 단편이다. 책을 무지 싫어 했던 그 시절에도 가슴저리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읽으러 가자→ 수난이대 - 우리문학자료관
본문
징용에 끌려갔다 한쪽 팔을 잃은 박만도가 6·25전쟁에서 다리를 잃고 돌아오는 아들 진수를 업고 집으로 돌아오는 이 작품은 민족적 수난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일제 식민지 시대의 고통과 6·25전쟁의 참극을 겪어나가는 두 세대의 아픔을 동시에 포착하면서 민족적 수난의 역사적 반복성을 의미있게 함축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오키나와로 징용을 나가서 비행장을 닦는 노역을 하다 폭격을 당하여 한쪽 팔을 잃는 아버지, 만도는 한국전쟁에 참가했다가 돌아온다는 아들의 소식을 듣고 신바람이 나서 마중을 나간다. 하지만 한쪽 다리를 잃고 나타난 아들 진수를 보고는 깜짝 놀란다. 그러나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외나무다리를 건널 때 그 아들을 업고 건널 만큼 안정을 되찾으며 자신들의 신세를 한탄하게 된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수난의 역사가 어떻게 한 개인이나 가족에게 상처를 입히고 있는가를 부자의 삶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당시 전쟁을 다룬 상당수의 작가들과 달리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을 결합시킬 수 있었던 작가의 능력이 돋보인다. 더구나 그것을 부자 2대의 수난사로 연결시킴으로써 한순간의 일회적인 비극이 아니라 민족의 공통적인 문제임을 보여주었다.
두 번의 전쟁과 2대에 걸친 비극을 단 하나의 장면으로 응축시켜 감동적으로 극화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전쟁이나 역사가 우리 민족에게 남겨준 처절한 아픔과 불행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작품이 약간 우의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상처를 당한 이들이 상처를 준 역사의 의미를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다만 운명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아버지는 팔, 아들은 다리를 잃었다는 단선적 대비, 그리고 아버지가 아들을 업고 외나무 다리를 건너는 장면에서는 설화성이 첨가됨으로써 이 작품은 우의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